< 20대~30대에 시작하는 재테크 >
년도가 바뀌면서 고등학생으로 올라가시는 분들도 미성년자를 벗어나 성인이 되시는 분들 참 많으실 텐데요.
아르바이트생이나 직장인이 되면 돈을 벌기 시작하게 됩니다.
월급으로 들어오는 돈을 꾸준하게 모아 집도 사고 차도 사고 재산도 크게 불리고 싶죠. 하지만 교통비와 휴대폰 요금 등등 이리저리 내고 나면 남는 돈은 얼마 없고 어떻게 돈을 모아야 할지 고민이 되실 겁니다.
돈을 벌기 시작한다면 어떻게 재테크를 할지도, 조언을 구할 사람도 크게 없죠. 그렇게 계획 없이 벌어들이고 지출만 한다면 지출이 소비습관으로 굳어지며 크게는 통장이 비는 상황에도 놓이게 됩니다.
SNS 다들 하나쯤은 하고 있죠?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매체를 통해서 잘 나가는 사람들 보면서 나도 잘 나가고 싶고 자기와 비교되기도 합니다. 어느 순간에는 현실을 자각하고 좌절하며 재테크를 포기하는 분들도 보입니다. 그렇다면 나를 인지하고 차근차근 재테크를 시작해 걸어 나가야 될 것입니다.
어렵지 않게 처음부터 천천히 시작해봅시다.
1. 소비 습관 파악하기.
지금의 나는 돈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크게 “고정지출” 과 “변동지출”로 나뉘게 됩니다. 고정지출은 교통비, 식비, 생활비가 있을 것이고 변동지출에서는 유흥비, 여행비 등이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YOLO(You Live Only Once)의 성격으로 인생은 한 번 뿐이니 순간의 결정으로 탕진을 즐긴다면 미래의 기회를 잡기 어렵습니다. 그럴 때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선택을 하시고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보다 다이어리를 써보며 패턴을 파악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2. 목표 세우기.
소비 습관을 파악하신다면 자신은 어떤 것을 가지기 원하고 이루고 싶은지 떠올려 봅시다. 여행도 있고 값비싼 물건도 있을 것입니다. 이 목표를 세우신다면 벌어들인 수입 일정 금액을 저축하고 소비하는 습관을 들어야 합니다. 가지고 싶은 것도 많고 사고 싶은 것도 많을 때 다시 한번 생각해 봅시다. 그 순간의 행복이 10분 뒤에는 어떤 느낌이 들까? 일주일 한 달 단위로 생각한다면 지금의 소비가 나에게 정말 필요한 소비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만의 가치관에 따라 돈이 소비되는 것인지를 살피며 설정한 목표에 다가갈 수 있을지 계획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3. 통장 나누기.
급여통장 : 매월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돈(월급)이 들어오는 통장입니다. 정기적으로 돈이 들어오는 만큼 자산을 관리하기 위한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생활비 통장 : 삶에서 필수적인 식비와 교통비, 통신비 등 생활에 필요한 돈을 넣어 놓는 통장입니다. 급여의 최대 50%를 넣고 해결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축통장 : 미래를 대비하는 통장입니다. 적금을 들 수도 있고, 보험료, 학자금 대출, 투자로 갚아야 하는 통장, 투자를 하여 불릴 수 있는 통장으로 나뉩니다. 상황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통장으로 분류하고 정한 일정 금액을 넣어봅시다.
비상금 통장 : 불규칙적으로 보너스, 용돈이 예상치 않게 들어오는 통장을 말합니다. 이 통장은 사고나 휴가, 기념일, 취미에 쓸 수 있도록 월급의 최대 10%를 넣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
처음 접해보는 재테크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천천히 들여다보며 진행해 보시길 바랍니다
'스몰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할 일을 빨리 끝내는 방법 > (0) | 2021.01.13 |
---|---|
<자기계발을 하는 이유> (5) | 2021.01.06 |
< K양극화와 재테크를 꼭 해야 하는 이유 > (2) | 2021.01.02 |
< 워라밸 : 어떻게 맞출까? > (14) | 2021.01.01 |
<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추억 > (0) | 2020.12.31 |